multiscale-cmse

본문 바로가기
연구분야
에너지

에너지

1. Aneurysm Clip

뇌동맥류 (Aneurysm)
  • 동맥의 혈압이 증가하며 동맥의 일부가 팽창해 뇌동맥류 발생
  • 증상이 심해질 경우 주변 신경조직 압박에 의한 장애가 일어나거나 뇌출혈이 일어나 마비부터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치명적인 질환

ANEURYSM CLIPPING 수술법
뇌 동맥류가 일어난 부위의 혈관에 코일을 넣어 추가적인 혈류를 억제
직접 뇌 혈관에 클립으로 결찰하는 방법
※코일을 이용한 방법은 모든 동맥류에서 적용이 되지 않아 제한적이므로 현재는 뇌동맥류 클립을 이용한 방법이 더 많은 범위에서 사용
치료법 크기가 작은 비파열성 뇌 동맥류: 크기가 작을 경우 보존적 치료를 통해 유지
크기가 큰 동맥류: 수술적 방법에 의한 치료
발전방향
뇌동맥류 클립의
발전방향
최근 뇌동맥류 클립 역시 수술 과정 및 향후 관리의 용이성을 위해 크기를 점점 줄이는 추세
소형화에 따른 클립 부분의 변형률이 커짐에 따라 고강도의 소재가 요구
뇌동맥류 클립용 소재의 발전방향 뇌동맥류 클립에 많이 사용되는 소재: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은 Pure Ti 혹은 Ti-6Al-4V 합금 채택 – 변형이 많이 걸리는 뇌동맥류 클립 역시 소형화달성
Ti-6Al-4V: 첨가된 Al과 V는 각각 알츠하이머 병과 신장 질환 유발
Pure Ti: 상대적으로 낮은 강도를 가지고 있어 소형화 한계 발생
최근 강소성 가공 공정의 적용을 통한 미세결정립을 가진 Pure Ti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 해당 소재를 이용한 임플란트 및 뇌동맥류 클립에 대한 개발 중
문제점 기존에 평가 방법으로 사용되던 뇌동맥류 클립의 변형 실험에는 다음과 같은 한계가 존재
뇌동맥류 클립의 제작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제작 후 평가 기간이 오래 걸림
서로 다른 소재를 이용한 뇌동맥류 클립의 제작 시 소요되는 비용이 큼
※실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최소화한 최적화 설계를 위해 유한요소해석법 적용 필요
해결방법 뇌동맥류 클립에 적용 예정인 소재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먼저 확보 후, 데이터베이스 기반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뇌동맥류 클립의 변형 정도를 측정

2. Lithium-ion Battery(LIB) 양극 소재 개발

LIB
  • LIB는 Li 이온을 이용해 에너지를 저장하는 이차전지의 일종
  • 구성성분으로 양극, 음극, 분리막, 전해질로 구분
  • 양극은 전지의 용량이나 충방전 지속성 등에 큰 영향을 미쳐 여러형태로 개발 중
발전방향 LIB 양극은 Li 이온의 빠른 확산, 높은 작동전압, 높은 용량, 충방전 지속성을 필요로 함.→ 이를 위해 전산 모사 기법 도입
최종목표 원자단위 전산모사(First-principles calculation & Large-scale atomistic simulation)을 이용하여 LIB 양극 재료 설계를 위한 database 구축
연구현황
A. Interatomic potential 개발
금속과 이온 간 결합을 모사 할 수 있는 2NN MEAM + Qeq interatomic potential1 을 개발
현재 interatomic potential database로는 Li-Mn-O2, Li-Co-O3 system 구축 → Li-(Ni,Co,Mn)-O 구축 목표
1. E. Lee, K.-R. Lee, M. I. Baskes and B.-J Lee, Phys. Rev. B. 93, 144110 (2016.04).
2. E. Lee, K.-R Lee, B.-J Lee, J. Phys. Chem. C 121, 13008-13017 (2017.06). 3. E. Lee, K.-R. Lee, B.-J. Lee, Compu. Mater. Sci. 142, 47-58 (2018.02).
B. Diffusivity 계산
Diffusivity는 배터리 충방전 속도를 향상 시키는 중요 요소
분자 동력학(Molecular dynamics)를 바탕으로 Diffusivity 예측 가능
(왼쪽 그림은 spinel-LiMn2O4 , layered-LiCoO2 에서 Li이온의 움직임 예측)
C. Structural Stability 예측
배터리의 수명은 구조 안정성에서 결정.
분자 동력학(Molecular dynamics)를 바탕으로 성능저하(degradation) 과정 볼 수 있음
D. Platform 개발
다양한 전산 기법을 이용한 배터리 개발을 위해 KIST에서는 Web platform을 개발했으며, 본 platform에 database 구축에 지원 중

3. 연료전지에 쓰이는 촉매 소재 – Pt, Pd 합금 나노 입자 촉매의 생성 및 부식

  • 연료 전지의 촉매 재료로 Pt, Pd 합금 사용 → 그러나 가격과 자원의 한계로 대체 원소 개발 각광
발전방향 Pt, Pd 나노 입자의 형상, 원소 분포는 촉매 성능의 매우 중요 → 전산 모사 기법을 통해 예측하고 함.
최종목표 원자단위 전산모사(First-principles calculation & Large-scale atomistic simulation)을 이용하여 나노 입자의 성장 및 부식 거동 예측
연구현황
A. Interatomic potential 개발
Pt-M(Al, Co, Cu, Mo, Ni, Ti, V) system에 대한 interatomic potential 개발1
→ 이를 바탕으로 Monte Carlo 를 통해 나노 입자의 형성과 원소 분포 예측 가능
현재 Pd-M(Al, Co, Cu, Mo, Ni, Ti, V) system에 대해서도 개발 중
1. J.-S Kim, D. Seol, J. Ji, H.-S. J.,Y. Kim, B.-J. Lee, CALPHAD 59, 131-141 (2017.12)
B. 나노 입자의 형성 예측
Monte Carlo 기법을 이용하여 나노 cluster가 생성된 후 원소 분포를 예측할 수 있음. (아래는 Pt-Mo cluster생성)
C. 나노 입자의 평형 예측
Monte Carlo 기법을 이용하여 나노 cluster가 생성된 후 원소 분포를 예측할 수 있음. (아래는 Pt-Ni 의 원소 분포 변화. Pt: gray, Ni: yellow)
D. 나노 입자의 부식
Kinetic Monte Carlo 기법을 이용하여 오랜 시간 후 나노 촉매의 부식을 예측 할 수 있음. (아래는 Pt3Co 나노 입자가 pH=0, 0.9V의 환경에서 38ns 동안 녹아 없어진 모습.)

4. Atomistic simulation for polymer

Atomistic simulation for polymer
  • 고분자는 생활용품, 군수산업, 약물전달 재료, 생체재료 등 모든 분야에 쓰이고 있음.
  • 주어진 환경에서 구조 변화, 움직임, 얽힘 효과 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요구 됨.
발전방향 고분자의 거동을 이해하기 위해선 단량체들 간의 상호작용 뿐 아니라, 긴 고분자 사슬 간의 상호작용까지도 고려되어야 함.
→ 이를 위해 전산 기법을 이용하면 실험적으로 밝히기 어려운 고분자의 거동을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고분자에 대한 원자단위 전산모사 기법
최근 고분자의 거동에 관한 보다 정확한 Formula의 개발로 물리적 거동 뿐 아니라 결합이 끊어지고 생성되는 화학적 성질까지 재현할 수 있게 되었다(ReaxFF).
이를 통해 다양한 조건에서 단백질 거동 분석을 통한 약물 전달, 금속 촉매 위에서 단량체로부터 고분자 생성반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 예로, OLED에 쓰이는 고분자 박막 기판 재료에 관한 연구를 소개하도록 하겠다.
전기가 통하는 P3HT는 유연하면서 가벼운 OLED의 필수 고분자이다. 하지만 물성이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물성이 좋은 절연 고분자와 함께 쓰인다.
현재, 소량(3wt%)의 P3HT만으로도 서로 그물처럼 연결되어 전도성 박막 제작이 가능하다. 이 때의 전도성 고분자의 거동에 대해 Atomistic Simulation을 통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산 모사를 통해 여러 분야의 다양한 고분자에 대한 이해 및 연구가 가능하다.
예시) 전도성 – 절연 고분자의 박막 내의 전도성 고분자의 거동
최근, 전기가 통하는 전도성 고분자에 대한 활발한 연구로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고분자가 큰 활약을 보이고 있다.
P3HT(노란색)라는 전도성 고분자로 Organic Field-effect Transistor (OFETs)를 만들어 디스플레이에 사용할 수 있지만, P3HT로만 이루어진 Film은 물성이 좋지 않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연구를 통하여 소량의 전도성 고분자를 물성이 좋은 절연 고분자 (Polystyrene_파란색)에 넣었을 때에, 전기가 통하면서 절연 고분자의 물성을 갖는 박막이 형성됨을 발견하였다. 이 때 전기가 흐르기 위해서는 전도성 고분자들이 그물처럼 서로 얽히는 Entanglement를 보여야 한다.
그림에서 나타난 거동은 전도성 고분자가 적은 양이 들어가있음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Entanglement를 보이는지, 해당 시스템에서 전도성 고분자의 거동이 어떻게 되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5. 태양 전지

태양전지
  • 태양전지 기술의 발전방향은 고효율, 저비용, 유연성, 친환경 네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곳을 지향한다.
    1세대 sc-Si 태양전지를 시초로 pc-Si, III-V, 그리고 박막형으로 Si, CdTe, CIGS, DSSC, 유기태양전지, 양자점태양전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등이 나왔으나 각각 고비용, 독성 소재, 열화, 저 효율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발전방향 2012년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중 하나인 MAPI라는 물질이 실리콘 태양전지에 버금가는 효율을 보이면서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연구에 큰 관심이 집중되었고, 더 높은 효율을 가지면서도 안정성이 높은 물질을 찾기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또한 기존에 MAPI에 포함된 독성 Pb 원소를 제거하기 위한 연구도 진행 중이며 MAPI와 같은 광활성체로 부터 전자와 홀을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전극물질도 연구되고 있다.
연구현황 CNMD연구실에서는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의 문제 중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b-free 페로브스카이트 광활성체를 찾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연구방법으로 다양한 조성에 대한 제일원리계산을 통해 안정성과 bandgap을 기준으로 screening을 하여 후보군을 선별하고, 후보군의 성능을 최적화를 위한 제일원리계산이 수행되고 있다. 연구에 활용된 기법은 제일원리수준의 DFT, GW, phonopy등이 있다

6.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

6.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

  •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lid oxide fuel cell, SOFC)는 전기 화학적 반응을 통하여 연료를 산화 시켜 생성되는 전자를 이용하여 화학적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전지이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전기화학반응으로 인한 부산물이 물과 이산화 탄소로 친환경적 에너지에 대한 요구 조건을 충족시키는 차세대 기술이다.
    더욱이 국토의 면적이 적어 다른 환경적인 요인의 영향을 많이 받는 대체에너지를 적용하기 힘든 우리나라에서 한정적인 자원을 가지고 효율이 극대화된 에너지 변환 시스템으로 응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발전방향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는 화석연료의 전력 변환에 있어 기존의 발전 방식 또는 타 연료전지 발전 방식에 비하여 작동 온도가 600~1000℃인 고온 연료 전지에 속하여 촉매가 필요 없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분산 전원 또는 중앙 집중 형 대형 발전 시스템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를 대중화 하기 위하여,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소형화 와 작동 환경의 완화, 효율의 상승에 대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중이다.
연구현황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소재의 조성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물성 예측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소재의 조성에 따른 전기전도도, 전기 화학 반응성, 상 안정성, 기계적 특성, 전해질과의 계면에서의 특성, 이온전도성을 전산재료과학을 통하여 예측 함으로서 산화물 전극소재에서 나타나는 전기 화학적 산화반응의 메커니즘을 규명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전극 소재의 전극 반응메커니즘에 대한 중요 인자를 선별해 내어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에 최적화된 물질을 예측하는 연구가 진행중이다.

7. 금속 초박막

7. 금속 초박막

  • 금속초박막 기술은 기존에 연구 되어온 0차원의 nano-particle, 1차원의 nano-rod에서 한 차원 올라가 2차원의 나노물질을 만드는 신기술이다. 넓은 표면적을 가진 금속초박막의 합성은 열역학적으로 매우 불안정 할 것으로 예측되지만 실제로 용액공정을 통해 수나노미터두께와 수백마이크로미터 직경의 gold nano-sheet합성이 가능하다.
발전방향 기존의 gold nano-sheet을 대면적화 하고, 금을 제외한 다른 금속에 대하여 용액상 공정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연구의 목표이다.
연구현황 기존에 알려진 gold nano-sheet의 합성 메카니즘을 밝혀 다양한 금속의 적용할 방안을 찾고자한다. 특히, 일반적인 환원반응이 아닌 열에 의한 환원반응이기 때문에 tetra-octylammonium(ToA)의 거동을 분석하여 gold의 환원 메카니즘과 성장 메카니즘을 연구하고 있다. 연구에 활용된 기법은 분자동역학 수준의 ReaxFF와 제일원리 수준의 VASP, Gaussian등이 있다. 현재 [ToA][AuCl4] in toluene system에서 Au를 기술할 ReaxFF 퍼텐셜을 보완 중이다